- 조영은 기자
- 2021.12.26 10:03
박주연 외 11명 지음 《미디어 경영론 5.0》
[한국대학신문 조영은 기자] 디지털 전환 시기에 맞춰 한국미디어경영학회가 새로운 미디어 경영론 교과서를 펴냈다.
한국미디어경영학회는 앞서 미디어경영총서 1권 《스마트 생태계와 미디어 경영 2.0》, 2권 《미디어 경영론》을 펴냈다. 2015년 발간된 《미디어 경영론》은 국내에서 미디어 경영의 교과서로 자리를 잡았지만 강산도 변한다는 10년의 세월 동안 기술적·환경적 변화 급격해지면서 한국미디어경영학회는 새 시대에 맞는 교과서를 펴냈다.
《미디어 경영론 5.0》은 미디어 경영의 핵심 이론과 최신 경향, 사례 벤치마킹과 미래 연구가 균형 있게 배분돼있다. 새로운 세상을 경험하고 있는 미디어 기업들과 관련해 체계적인 미디어 경영 이론과 사례를 제공한다.
모바일 기기 확산, 5G 인터넷 보급, 인공지능, 빅데이터, 딥러닝 등 4차 산업혁명 기술과 맞물려 미디어 산업 환경 변화의 속도가 더욱 빨라졌다. AR(증강현실), VR(가상현실), 인공지능, IoT(사물인터넷) 등의 영향으로 큰 변화를 겪고 있다. 디지털 전환의 흐름이 빨라지면서 미디어 산업과 통신 산업 간 경계가 흐려졌고 새로운 플랫폼의 등장과 대형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의 확산으로 콘텐츠 지식재산(IP) 확보 경쟁도 심화됐다.
합리적인 의사 결정과 전략 도출을 위해서는 미래 정보 수집과 시나리오 분석, 시뮬레이션이 필요하다. 미디어 기업이 기술 변화에 도태되지 않으려면 기존 주력 산업에서 지속적인 성장과 개선을 추구하면서 동시에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찾는 양손잡이 경영이 필요하다.
《미디어 경영론 5.0》에서는 이 같이 격변하는 미디어 환경에서 미디어 조직이 생존과 성장을 도모하려면 무엇이 필요한지 설명한다.
책은 기초부터 각론까지 총 3부 12장으로 구성됐다. 제1부에서는 미디어 경영 환경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적인 지식을 제공한다. 이상우 연세대 정보대학원 교수가 미디어 산업과 경영에 대한 개괄을 제시하고 이상원 경희대 미디어학과 교수가 미디어 시장의 융합과 경쟁에 대해 설명한다. 미디어 상품과 서비스에 대해서는 홍성철 경기대 미디어영상학과 교수가, 미디어 경영의 경제학적 기초에 대해서는 장병희 성균관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가 담당했다.
제2부에서는 미디어 경영의 방향성을 다루는 경영 전략을 안내한다. 이문행 수원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가 미디어 기업의 사업 전략에 대해 설명하고 박주연 한국외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가 미디어 기업의 인수·합병과 글로벌화를 다룬다. 2부에서는 미디어 기업의 전략에 대한 큰 그림을 이해할 수 있다.
마지막 제3부에서는 미디어 기업이 수행하는 세부적인 기능들을 하나씩 설명한다. 미디어 기업의 조직과 인적자원 관리에 대해 곽규태 순천향대 글로벌문화산업학과 교수가 소개하며 미디어 기업의 재무관리에 대해 김성철 고려대 미디어학부 교수가 설명한다. 미디어 기업의 마케팅 관리에 대해 정윤혁 고려대 미디어학부 교수가 정리하며 모정훈 연세대 산업공학과 교수가 미디어 기업의 새로운 기술 경영과 관련된 이슈들을 설명한다. 디지털 전환과 커머스 간 연계에 대해 김민기 KAIST 경영대학 교수가 소개하며 ESG를 기반으로 미디어 기업의 지속가능 경영의 내용을 송지희 서울시립대 경영대학 교수가 제시한다. (한울 아카데미/3만5000원)

원문보기 : 한국대학신문(http://news.unn.net)